본문 바로가기

여행/해외여행

레공댄스 발리 우붓왕궁에서 즐길 수 있는 전통공연 한글 스토리

레공댄스-썸네일

레공댄스 발리 우붓왕궁에서 즐길 수 있는 전통공연 한글 스토리


레공댄스는 발리의 전통댄스로 케착댄스와 바롱댄스와 함께 3대 무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8세기 정도부터 발리의 왕궁에서 선보여졌으며, 처음에는 어린아이들이 추는 춤이었지만, 현대에는 성인무용수들이 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힌두신화와 왕실에 대한 내용을 스토리로 하고 있으며, 타부로 알려진 타악기 퍼커션이 배경음악을 함께 제공합니다.
저도 발리에 방문했을 때 전통공연을 꼭 보고 싶었는데, 손쉽게 티켓을 구할 수 있어 부담없이 볼 수 있었습니다.

 

만약 미리 구하고 싶으시다면 클룩과 같은 여행 상품 판매 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지만, 우붓왕궁의 레공댄스는 시작하는 시간에 맞춰 왕궁에 가있으면 매표원들이 돌아다니면서 표를 팔고 있어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1. 레공댄스 우붓왕궁 입장하기

입장하기 위해선 우붓왕궁 앞으로 가시면됩니다. 매일 공연이 있으며 다른 스토리로 채워지는 듯합니다.
저는 일요일 오후 7시30분 공연을 보기 위해 갔고, 가격은 10만루피, 우리돈 8천원가량 했습니다.

 

평일에도 다른 공연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지만, 주말 일요일의 공연은 '마하바라타의 레공 서사시' 공연입니다.
왕궁앞에 가면 판매사원 목걸이를 찬 아저씨들이 표를 판매하니, 적당히 구매하셔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일찍가면 의자 혹은 바닥에 앉아 관람할 수 있으며 늦게가시면 조금 뒤에서 서서 보시거나 낑겨서 보아야 합니다.
다만, 중반쯤 넘어가면 사람들이 점점 사라지니 앞에서 볼 수 있습니다.

 

레공댄스는 왕궁뿐만아니라 우붓시내 다양한 곳에서 공연되니, 혹시라도 시간을 맞추지 못했다면 다른 공연장에서 보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레공댄스-입구

 

2. 레공댄스 8막 살펴보기

일요일의 레공댄스는 8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로 눈빛과 손가락, 발가락의 세밀한 표현으로 무용이 이루어져있는데, 예술인이 아니고서는 크게 어떤의미인지 추측하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다만, 일반인이 보더라도 눈빛연기는 상당히 강력하므로 기억에 강하게 남고, 열정적으로 공연하는 무용수들이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그래도 비슷한 모양의 춤이 1시간~2시간 가량 진행되니 아이들은 쉽게 지루해하는게 보였습니다.
실제로 어른인 관중들도 중간에 많이들 나가는 것을 보았고, 안쪽에 자리를 잡아 쉽게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은 핸드폰을 보며 딴짓을 하기도 했습니다. 더 재밌는 것은, 타악기 연주자들도 중간에 조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자세한 레공서사시 스토리는 맨아래 소제목 4번을 확인해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1. 타부자야스마라

타악기 퍼커션으로 시작합니다. 공연의 시작으로, 영롱한 타악기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레공댄스-퍼커션

 

2. 테둥아궁댄스

테둥이라는 발리의 우산으로 춤을 표현하며, 눈빛, 표정연기에 빠져들어 보게 됩니다.

레공댄스-아궁

 

3. 바리스그룹

전사의 춤을 보여주며, 옛날 발리에서 어떤식으로 싸움을 해나갔을지 상상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레공댄스-전사의춤

 

4. 레공 수프라바 두타

5명의 여성 무용수가 마하브라타 서사시의 우화를 연기합니다.

5. 타부 카투르 안구립

인생의 희노애락을 연기합니다.

6. 타루나 자야댄스

발리의 젊은 에너지를 연기합니다.

레공댄스-마하브라타

 

7. 토펭아르사 위자야댄스

일종의 가면극으로, 두가지 표정의 마스크를 갖고 연기합니다.

레공댄스-위자야

 

8. 타리 크레아시 가루다 비슈누

가루다를 타고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는 비슈누신을 표현합니다.

레공댄스-가루다

 

아래는 클로징 세레모니인데, 모든 무용수들이 나와 인사를 하고 들어갑니다. 사진촬영이나 스페셜 무대같은것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레공댄스-클로징

 

중간에 몇몇 춤은 찍지 못했는데 아무래도 중간에 집중력이 많이 흩어집니다.
아직 저도 예술관람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끝까지 보고 나왔다는것이 중요한 듯 합니다.

3. 우붓왕궁 레공댄스 시간 및 금액

우붓왕궁의 일요일 레공댄스는 아래에서 보시다시피 오후 7시반입니다. 아래 티켓은 우붓왕궁 앞에서 쉽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레공댄스-팜플릿

 

팜플렛이 티켓인데, 우측하단의 세모를 뜯어 확인합니다. 세모는 입구에서 검표원이 수거해갑니다.
영어 스토리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팜플릿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레공댄스-티켓

 

레공댄스는 발리에 방문했다면 한 번쯤 볼만한 공연같습니다.
하지만, 3대 공연 중 하나를 보았다면 나머지는 보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공연도 비슷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것 같습니다.

4. The Legong Of Mahabarata Epic(마하바라타의 레공 서사시)  주말 일요일 공연 한글 스토리

제가 관람한 레공댄스는 우붓 왕실에서 진행되는 공연이었으며, 요일마다 공연내용이 다릅니다.
제가 받은 리플릿은 일요일에 받은 레공댄스인데 영어로 적혀있어 알아보기 힘들어 한국어로 번역하고 제가 조금더 풀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역과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공연은 총8개의 막으로 이루어집니다.

1. 타부 자야 스마라(Tabuh Jaya Smara) 

 '타악기 자야스마라'라는 뜻입니다. 혹은 타부는 퍼커션이라는 인도네시아어로, 연주에서는 퍼커션이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야스마라 퍼커션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퍼커션은 타악기를 뜻하므로 '자야스마라 타악기연주'라고 번역하는것이 자연스러운것 같습니다. 자야스마라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민족음악이고, 스마라는 사랑을, 자야는 승리를 의미합니다. 희망을 받아들이고 사랑의 전파에 대해 공연합니다. 자야스마라의 아름다운 소리는 모든 인간을 화해시키는 우주의 영광으로 표현됩니다.

 

2. 테둥아궁댄스(Tedung Agung Dance  - Welcome Dance)

 

테둥아궁댄스는 '위대한 테둥 댄스'라고 말할 수 있을듯 합니다. 테둥은 발리의 전통적인 우산으로 조선시대 왕에게 씌워주던 해가리개(대산, 개산, 홍개, 청개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듯합니다)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사극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발리에서는 좀 더 신성한 의미가 있는듯 합니다. 테둥아궁은 우산을 연상시키면서, 발리 문화를 보호하고 전승한다고 합니다. 아마 비를 막아주는 우산에서 외부의 문화를 막아주는 것을 연상시키는 듯 합니다.

테둥 아궁은 남성과 여성 무용수가 함께 공연하며, 여성 무용수는 꽃을 들고, 남성 무용수는 우산을 사용해 상징적이고 동양적인 춤을 선보입니다.

 

3. 바리스 그룹(Baris in Group - Worrior Dance)

 

'바리스'는 리드댄서의 이름이고 이 무용수의 뒤로 다른 무용수들이 따라오며 추는 즉흥 무용입니다.
이 무용그룹은 함께있을 때 하나의 움직음을 보여줍니다. 이 무용은 전투에 임하기 위한 준비를 보여줍니다.

 

4. 마하브라타 서사시의 레공 수프라바 두타 (The Legong Supraba Duta of mahabrata Epic)

 

5명의 여성 무용수가 고전 레공 댄스를 선보입니다. 이 이야기는 마하브라타 서사시의 우화입니다.
마하브라타는 어느 왕국의 왕에게 와이샴파야나라는 성자가 그에게 가르침을 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서사시는 라마야나, 바가바탐과 함께 인도의 3대 고대서사시 가운데 하나로 뽑힙니다. 우리나라에서 생각하는 삼국지, 서유기, 구운몽, 삼국유사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마하브라타 서사시에서 괴수 네와탁와카(Newatakwaca)가 하늘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는 에피소드를 공연합니다.
'인드라'는 인도 신화에 나오는 신인데,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를 제외하면 신화내에서 가장 지위가 높은 신입니다. 인도 신화에서 신들의 왕으로 불리고, 제석천이라고도 불리며, 제우스, 토르 등과 동일시 됩니다. 인드라는 네와탁와카에 대응하기 위해 천사 수프라바 (Supraba) 와 아르주나 (Arjuna) 에게 괴수 네와탁와카와 싸울것을 명하였습니다. 수프라바 (Supraba) 와 아르주나 (Arjuna)가 네와탁와카와 싸우기 위해 네와탁와카(Newatakwaca)가 있는곳으로 갔고, 수프라바(Supraba)의 마법과 아르주나(Arjuna)의 지혜로 괴수 네와탁와카(Newatakwaca)를 무찔렀습니다.

 

5. 타부 카투르 안구립(Tabuh Catur Angurip)

카투르 안구립(Catur Angurip)이라는 타악기는 세상에 인간 생명이 존재한다는 발리의 철학을 묘사합니다. 넷이라는 뜻의 카투르(Catur), 인생이라는 뜻의 안구립(Angurip)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인간이 태어날때부터 죽을때까지 인생에서 느끼는 희노애락을 네명의 여성이 표현합니다.

 

6. 타루나 자야 댄스(Taruna Jaya Dance)

이 춤은 발리의 젊은이들이 경험한 전통 시대의 특징적인 분위기 변화를 표현합니다. 이 춤은 젊음의 열정적인 에너지를 표현합니다.

 

7. 토펭 아르사 위자야 댄스(Topeng Arsa Wijaya Dance)

토펭(Topeng)은 가면을 뜻하는 발리어입니다. 사람들은 그들의 표현에 따라 두가지의 마스크를  보여줍니다.
소프트 마스크의 토펭 알루스(Topeng Alus)는 부드럽고 관대하며 온화한 성격을 나타내며, 강하고 냉혹한 성격을 나타내는 마스크는 토펭 케라스(topeng Keras) 또는 더우 마스크(Though Mask)입니다.

 

 

8. 타리 크레아시 가루다 비슈누 (Tari Kreasi Garuda Vishnu)

암리타(Amrita)가 Glait의 손에서 빼앗을 때 독수리(Engle)를 따라 비슈누(Lord Vishnu)의 투쟁을 묘사합니다. 암리타(Amrita)는 성수(holy water)이자 생명수이며, 우주와 그 내용물의 보존자로서 나타나는 비슈누의 상징입니다. 암리타는 불멸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 단어이기도 합니다. 불멸의 영약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무용수들은 둥근 무기 차크라를 갖추고 가루다를 타고 다양한 전술과 힘을 사용하는 비슈누 신을 표현합니다.

비슈누 신은 다양한 전술을 사용하며, 암리타를 구해 평화의 지속을 보장합니다. 덕분에 우주에서 생명 모든 생명은 보호되며, 잘 유지될 수 있습니다.

 

비슈누는 브라흐마,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3대 신 중 하나이며, 브라흐마는 창조, 시바는 파괴, 비슈누는 유지를 담당합니다. 여덟번재 공연에서는 이러한 우주의 유지, 질서, 관리를 표현하는듯 합니다.

 

 

 

5. 함께보면 좋은 글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당일발급 및 환전 사용법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당일발급 및 환전 사용법 트래블로그는 하나카드에서 출시한 여행자 전용 환전카드입니다. 요즘, 많은 은행사에서 여행자를 위한 수수료 무료 환전카드가 나오고 있는데,

springsoup.tistory.com

 

 

 

발리 전자세관 신고 동반, 비동반수화물 및 큐알코드 발급방법

발리 전자세관 신고 동반, 비동반수화물 및 큐알코드 발급방법발리를 여행하기 위해서는 출발 전에 전자세관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발리의 세관 신고는 의무사항이며 도착해서도 전자세관

springsoup.tistory.com